![](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7Ugxy/btsoftypYwF/O1eznLNYOz4uvWzGnr3zHK/img.jpg)
오래간만에 연락이 닿은 지인이 뇌졸중으로 하늘나라로 갔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한 달 정도 되었지만 왜 주변에서 빨리 알아차리지 못하고 골든타임을 놓쳤을까라는 생각도 드는 것이 사실입니다. 아직 40대인데 그런 소식을 들어 병은 미리미리 알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일 것입니다. 뇌졸중 국내 사망 원인 4위이자 돌연사의 주범, 혈관의 문제로 뇌에 손상이 생겨 뇌 기능에 차질이 생기는 뇌혈관질환을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원인은 동맥경화 때문입니다. 혈관 안에 지질이 쌓여서 혈관벽이 지저분해지고 좁아집니다. 뇌졸중은 뇌경색과 뇌출혈을 포함합니다. 뇌경색 뇌혈관이 막혀 뇌세포에 혈액 공급이 안 되어 뇌세포가 죽는 상황을 가리킵니다. 뇌경색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첫째로, 혈관이 딱딱해지는 동맥경화로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gd2Qy/btsnOflXL9i/k3EoqMrps8BfaF8AxBYSbK/img.jpg)
누구에게나 나이가 들면 노화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해결책으로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과 노화를 늦추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지금 우리의 노화 지연 솔루션을 선택하여 더 건강하고 젊은 모습을 유지하도록 노력해 봅니다. 노년내과 대부분 70대 이상의 노인들에게 복합적으로 오는 질병과 그들의 건강을 다루는 의료 분야입니다. 노년내과 전문의는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고, 노인들의 건강 유지와 질병 예방, 진단, 치료를 담당합니다. 노년내과에서 하는 일 노인들이 먹는 30가지 정도의 약을 관리하거나 복약지도를 하기도 하고 노화를 연구하고 중년층의 노화 과정을 관찰하기도 합니다. 노화절차 순발력 즉, 10미터 달리기 등은 20대부터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MMpB6/btsnnMSf51P/WTml8mPGBc80fJqae191S0/img.jpg)
마음으로는 내 부모님을 시설에 맡기지 않고 가정에서 돌보고 싶을 것입니다. 하지만 상황이 녹록지 않아 시설의 도움을 받거나 가정에서 모든 부담을 짊어지면서 고통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고자 치매환자를 가정에서 돌 볼 때 받을 수 있는 지원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가급여 치매로 인해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및 치매 노인 부양가정에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치매 노인이 가족 및 친지와 함께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치매 노인 부양으로 인한 가족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제공되는 혜택입니다. 재가급여를 제공할 수 있는 장기요양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의 "장기요양기관 검색" 서비스를 통해 내가 이용할 수 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bxsER/btsm8ZkRWTN/Bi0y5udEc7rNdpY3d8bEwK/img.jpg)
치매는 치료제가 아직 없습니다. 그래서 치매환자들은 계속해서 돌봄 관리를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이것을 가족에게만 떠넘기기엔 가족 구성원의 고통이 너무 큽니다. 국가에서 함께 이 짐을 나누어 지어야 합니다. 국가에서 지원할 수 있는 치매 관련시설을 알아보겠습니다. 시설선택 요양병원을 제외한 다음은 노인장기요양보험(시설급여 또는 재가급여)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시설들입니다. 개인의 상황과 요구에 맞게 적절한 시설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1. 주 · 야간 보호시설 : 일정 기간 동안 보살펴주고 심신기능 유지 및 향상이 필요한 치매 환자를 위한 시설입니다. 2. 단기보호시설 : 일시적으로 부득이한 사정으로 보호가 필요한 치매 환자에게 적합한 시설입니다. 3. 노인요양시설 : 치매, 중풍 등 노인성 질환으로 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cJJZC/btsmWodmxtS/WVT9P7klG2g5V9fqKzK121/img.jpg)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7월 4일부터 6개 지역 서울 종로구, 경기 부천시, 충남 천안시, 전남 순천시, 경북 포항시, 경남 창원시 에서 상병수당 1단계 시범사업을 시행했으며, 올해 7월부터는 상병수당 2단계 시범사업을 경기 안양시·경기 용인시·대구 달서구·전북 익산시 4개 지역에서 추가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상병수당 시범사업 시행 1년을 맞이해 그간 운영 실적도 공개했다. 상병수당 시범사업 운영실적 상병수당은 근로자가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일을 할 수 없는 기간 동안 소득을 보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상병수당 시범사업 운영실적을 살펴보면, 지난 1년간 총 6005건에 대해 평균 18.6일 동안 평균 83만 7000원의 수당이 지급되었습니다. 모형별로 살펴보면 ● 근로활동 불가 기간 모형인 모..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ita9V/btsmOcd3cKw/6rFg5ffdj85karGdGaKW31/img.jpg)
누구다 다 늙습니다. 우리나라 치매 환자는 88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인구의 약 10분의 1에 해당하는 비율입니다. 치매는 장기적 돌봄이 필요하니 국가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본인이나 자녀들도 치매 치료비 지원사업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지원 대상 선정되기 위해서는 소득과 재산 등이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인 것이 요구됩니다. 그리고 중 하나가 해당되어야 합니다. ■ 건강보험가입자 및 피부양자 중 치매환자 :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사람 또는 가입자의 부양을 받는 사람 중에서 치매를 앓고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 의료급여수급권자 중 치매환자 :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어 의료급여 혜택을 받고 있는 사람 중에서 치매를 앓고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지원 한도 2023년 1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wJjkN/btsmAMzAewY/XogMdFc1J8zgGjkgbRutt0/img.jpg)
요즘 계속 제로콜라를 쟁여놓고 먹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이미 제로콜라에 중독되었는데 이제 아스파탐이 들어간 음식 말고 어떤 음식을 먹어야 하나 알아보니 천연 인공감미료로 대체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인공감미료를 쓰는 이유 단맛은 우리에게 기쁨을 주는 성질이 있으며, 설탕의 섭취는 도파민 생성을 자극하여 우리를 기분 좋게 만듭니다. 이로 인해 우리의 뇌는 설탕에 중독되어 점점 더 과다한 설탕을 섭취하고 싶어 하게 됩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설탕의 과도한 섭취가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며, 성인과 아이들의 경우 하루 섭취량을 전체 에너지 섭취량의 10%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설탕은 신체에 영양가는 없는 칼로리를 제공하며 체중과 체지방을 증가시키고, 당뇨와 심..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I8l7K/btsl9MgnvkY/C0oJp57r8d1gwdlQn96Kl1/img.jpg)
냉장고가 이 한여름에 고장이 나서 주말에 너무 고생을 하였습니다. 음식들을 살릴 건 살리고 버려야 할지 고민하다 이 한여름 식중독이 무서워 그냥 다 버리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름에 더욱 잘 걸리기 쉬운 식중독의 실질적 예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무엇을 먹었나요? 식중독은 오염된 또는 오래된 음식을 섭취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음식은 식중독에 걸릴 위험이 높을 수 있습니다. ● 날것 또는 부적절하게 조리된 고기 : 생고기, 햄버거, 소시지, 생선, 닭고기, 소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등 ● 날것 또는 부적절하게 조리된 해산물 : 새우는 해산물 중에서도 식중독 위험이 높은 음식입니다. 그리고 날것으로 섭취하는 해산물, 특히 굴, 조개, 게, 낙지 등은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