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qAow/btsBxeP59sA/4sKCRkdPoN5YZjnTV6IPt1/img.jpg)
우리나라 자살률이 OECD 1위, 우울증 진단자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정부가 국민들의 정신건강을 적극적으로 돌보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정신건강 문제가 국정 의제로 등장한 것은 처음이며, 이는 국민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반영하는 결정입니다. 1. 우리나라 자살률 우리나라에서 OECD 국가들의 건강지표를 보면, 응급실 문제나 지역 의료 문제가 있지만 압도적인 1위는 자살률입니다. 따라서 자살률을 빼고 우리나라의 건강을 논의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고려할 때, 정신건강이 국정 의제로 사상 처음으로 올라온 것은 매우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묻지 마 범죄가 잇따라 발생하였는데, 그 기저에는 정신건강 문제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가 깔려 있었습..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xenr/btsBxcKcPyJ/tKdiH4kk3C1OROckPJYQt1/img.jpg)
엄마가 다리 저림 때문에 잠을 못 주무신다고 합니다. 팔다리가 떨리고, 저리고, 시리고, 뻣뻣하고, 힘 빠지는 등의 증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의 가능한 원인인 척추질환, 혈관질환, 뇌졸중 등 다양한 질환의 증상을 이해해 보겠습니다. 1. 손 떨림 물건을 잡을 때 떨림 손이 떨리는 것은 '본태성 떨림'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주로 많은 집중을 할 때 더욱 심해집니다. 예를 들어, 물건을 잡으려고 하거나 글씨를 예쁘게 쓰려고 할 때 더욱 떨림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반면 휴식을 취하거나 긴장을 푸는 경우 떨림이 완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본태성 떨림은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건강 문제 중 하나이며, 특별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치료법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4ps0h/btsBuvin7VD/CcEwK4a0cmF9aXBMkQdxq0/img.jpg)
당뇨병, 고혈압 등 특정 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복용해야 할 영양제와 주의사항, 그리고 영양제의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양제는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잘못된 복용 방법은 오히려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영양제를 안전하게 복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1. 질환 별 주의해야 할 영양제 당뇨병 당뇨병 환자분들은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오메가 3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에 대해 주의해야 합니다.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은 관절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이들은 연골의 구성 성분이며, 바깥에서 섭취해도 소화 과정을 통해 분해되어 효과가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글루코사민은 포도당의 유사체이므로 당뇨병 환자들의 당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bPBwa/btsBmRyMn8k/LFPcnko5fZr0C1xoFvbrz0/img.jpg)
효과적인 소통과 발표를 위한 말하기 전략 몇개를 소개합니다. 첫째, 호감 가는 목소리를 만들기 위한 훈련법, 둘째, 성공적인 발표를 위한 준비 방법, 셋째, 말의 끝맺음의 중요성, 그리고 넷째, 거절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목소리를 좋게 만드는 방법 첫째, 허밍을 통해 목소리를 훈련할 수 있습니다. 허밍을 하면서 입을 조금씩 벌리면, 성대가 무리 없이 소리를 내는 방식을 연습할 수 있습니다. 허밍을 하다가 입을 벌리면서 소리를 낸다면, 울림통 역할을 하는 입 안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둘째, 발성 연습도 중요합니다. 발성 연습을 통해, 자신의 성대로 가장 호감 가는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발성 연습이란, 자신의 목소리를 조절하고, 소리를 내는 방법을 훈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셋..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2fbCJ/btsBkjIWsAD/fcgtLbYx0QQ4cMfkZllGOK/img.jpg)
오메가-3, 뇌 건강, 식이섬유, 비타민 E, 칼슘 등 풍부한 영양소가 들어있는 들깨와 들기름의 효능을 소개합니다. 또한 소고기, 버섯, 낙지, 말린 나물 등과 잘 어울리는 음식 궁합을 알려드리며, 건강한 식습관을 위한 팁도 함께 제공합니다. 1. 들깨와 들기름의 효능 ①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다. 오메가-3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우리 몸에서는 직접 생산할 수 없어 식품을 통해 섭취해야 합니다. 오메가-3는 혈행 개선에 도움을 주며, 혈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오메가-3가 많이 들어있는 식품으로는 생선류가 알려져 있지만, 비타민 D도 함께 섭취할 수 있어 혈관 보호에 좋습니다. 하지만 들기름은 그 양이 많지 않아도 오메가-3가 굉장히 많이 들어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적은 양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plVAF/btsBil70Acp/DjUte55fa4kvtBQHe7mGk0/img.jpg)
저와 딸은 고기나 생선이 없으면 밥을 못 먹는 육식파입니다. 소고기 먹을 때마다 그냥 식당에서 제일 비싼 거나 해주는 대로 먹었는데, 알면 조금 더 맛있는 고기를 먹을 수 있다고 하여 소고기에 대한 정보를 다 모아봤습니다. 1. 한우의 부위 한우는 많은 부위로 세분화되어 있어서 각각의 부위별로 다른 요리에 적합합니다. 대분할 부위는 목심, 등심, 채끝, 우둔, 앞다리, 갈비, 양지, 설도 등이 있습니다. - 등심, 안심, 채끝, 갈비 : 구이용으로 매우 좋습니다. 한우는 고유의 마블링을 가지고 있어서 어떤 부위를 구이용으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 목심, 앞다리살, 사태, 양지, 우둔, 설도 : 탕, 국, 찜 등으로 이용하기 좋습니다. - 불고기 : 한우의 다른 변신입니다. 불고기는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AdIp5/btsBbE12LR3/v9L1kgKQKpCN1KsfkrUjp1/img.jpg)
가족 중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분이 있는 사람이 있겠죠? 정신질환을 앓는 가족을 가진 사람들이 공감하고, 이해하며, 그 과정에서 가족이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양극성 장애 진단을 받은 가족이 있다? 양극성 장애는 과거에는 조울증이라고 불렸던 것으로, 환자의 기분이 극단적으로 바뀌는 질병입니다. 즉, 매우 기분이 좋아져 잠도 안 자고 일을 하다가 갑자기 우울증에 빠져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상태로 변하는 것입니다. 이런 기분의 변화는 일상생활을 어렵게 만들며, 심한 경우에는 자신의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가족의 반응 진단을 처음 들었을 때는 세상이 무너지는 것 같을 것입니다. 보통 처음에는 병을 부정하려 하고 그다음에 왜 그런 병에 걸렸는지 원인을 찾으려 할 것입니다. 하지만 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m08nk/btsBbKNw68V/rMffhVIm8RtJ3uu58uJ5x1/img.jpg)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 두 가지 주요 관절염 유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가지를 구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각각의 특징을 자세히 짚어보며,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A. 퇴행성 관절염 1. 발병 원인 주로 '관절 부하'에 의해 발생 : 관절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서 발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때때로 염증 반응에 의한 것으로 봐지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관절을 자주 사용하고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발생합니다. 따라서 가장 활동적인 관절에서 퇴행성 관절염이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상지에서는 손, 하지에서는 무릎이 가장 많이 일하므로, 이 부위에서 관절염이 가장 자주 발생합니다. 2. 발병 연령과 관련 부위 특히 50세 이후에 흔히 발병하는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무릎 관절에서 발..